-
엽산 (태아 건강)
- 임신 전후 엽산 섭취가 신경관 결손(신경관 결손증) 예방에 결정적 역할
- 대표 레퍼런스:
- Czeizel AE, Dudas I. Prevention of the first occurrence of neural-tube defects by periconceptional vitamin supplementation. N Engl J Med. 1992;327(26):1832-5.
-
철분 (빈혈)
- 철분 결핍성 빈혈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
- 대표 레퍼런스:
- WHO. Daily iron supplementation in adult women and adolescent girls. 2016.
-
칼슘 + 비타민D (뼈)
- 골다공증 및 골밀도 유지에 대한 효과가 확립
- 대표 레퍼런스:
- Zhu K, et al. The effects of a two-yea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calcium plus vitamin D on bone structure and bone remodeling in older postmenopausal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08;93(3):852-857.
-
오메가3 (임산부)
- 태아 뇌 발달 및 임신 중 일부 건강 지표 개선에 도움
- 대표 레퍼런스:
- Coletta JM, et al. Essential fatty acids and their metabolites in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Rev Obstet Gynecol. 2010;3(4):163-171.
-
비타민D (뼈‧활력)
- 뼈 건강 관련해서는 매우 확립된 편이며, 결핍 상태에서 피로 개선 보고도 있음
- 대표 레퍼런스:
- Holick MF. Vitamin D deficiency. N Engl J Med. 2007;357(3):266-281.
-
아연 (폐렴, 감기)
- 저소득국 아동 폐렴 예방, 감기 기간 단축 등에 일정 효과
- 대표 레퍼런스:
- Lassi ZS, et al. Zinc supplementation for the prevention of pneumonia in children aged 2 months to 59 month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12:CD005978.
-
생강 (구토, 메스꺼움)
- 임신부 혹은 일반 소화기계 관련 구토·메스꺼움 완화에 일정 효과
- 대표 레퍼런스:
- Lete I, Allué J. The effectiveness of ginger in the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during pregnancy and chemotherapy. Integr Med Insights. 2016;11:11-17.
-
비타민A (홍역, 설사)
- 결핍 상태의 소아 홍역 합병증·사망률 감소에 효과. WHO 권고
- 대표 레퍼런스:
- WHO. Vitamin A supplement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6–59 months of age. 2011.
-
멜라토닌 (수면)
- 1차 불면증이나 교대근무자 수면위상 문제 등에서 효과 비교적 확실
- 대표 레퍼런스:
- Ferracioli-Oda E, et al. Meta-analysis: melatonin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sleep disorders. PLoS One. 2013;8(5):e63773.
-
커피
-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춘다는 메타분석(관찰연구)들이 있으나 인과관계 완벽히 확정은 어려움
- ‘활력‧각성’ 증진 효과는 카페인에 의한 단기적 효과로 인정
- 대표 레퍼런스:
- Guo X, et al. Sweetened beverages, coffee, and tea and depression risk among older US adults. Circulation. 2017;136(22):2172-2188. (커피와 심혈관 상관연구 다수 존재)
-
대마초 추출물 (통증)
- 만성 통증 완화 효과가 있다는 중등도 근거 있으나, 안전성‧법적 문제 고려 필요
- 대표 레퍼런스:
- Whiting PF, et al. Cannabinoids for medical u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15;313(24):2456-2473.
-
비타민C (감기)
- 감기 기간·증상 완화에 소폭 도움, 예방 효과는 제한적(주로 격렬한 운동 등 특정 집단에서)
- 대표 레퍼런스:
- Hemilä H, Chalker R. Vitamin C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e common cold.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1:CD000980.
-
피버퓨 (Feverfew, 편두통)
- 일부 연구에서 편두통 발작 빈도 감소 보고, 다만 연구마다 결과 차이 존재
- 대표 레퍼런스:
- Shrivastava R,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feverfew in migraine prevention. Clin Drug Investig. 2006;26(5):287-96.
-
칼슘 (직장암)
- 대장‧직장암 위험 감소 관련 일부 메타분석 보고 있으나 확정적 결론은 아님
- 대표 레퍼런스:
- Shaukat A, et al. Systematic review: effects of calcium supplementation on risk of colorectal adenomas and cancer.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5;1:CD008879.
-
비타민B (조현병)
- 고용량 B군 복합이 일부 증상 개선에 보조적 효과 가능성, 연구마다 차이 큼
- 대표 레퍼런스:
- Firth J, et al. The effects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ation on symptoms of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ol Med. 2017;47(9):1515-1527.
-
비타민D (천식, 독감)
- 결핍 상태 보완 시 천식 발작·호흡기 감염 위험 완화 보고 있으나 일반인 대상으론 근거 중간
- 대표 레퍼런스:
- Martineau AR, et al. Vitamin D supplementation to prevent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BMJ. 2017;356:i6583.
-
녹차 (암)
- 일부 암 발생 위험 낮춘다는 역학연구 있으나 인과는 불확실
- 대표 레퍼런스:
- Boehm K, et al. Green tea (Camellia sinensis) for the prevention of cancer.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3:CD005004.
-
다크 초콜릿 (혈압)
- 플라바놀 함량 높은 초콜릿은 혈압 소폭 하강 효과가 메타분석에서 관찰
- 대표 레퍼런스:
- Ried K, et al. Effect of cocoa on blood pressur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4:CD008893.
-
프로바이오틱스 (혈압, 대장)
- 고혈압이나 장내 환경 개선에 일부 긍정적 연구가 존재
- 대표 레퍼런스:
- Khalesi S, et al. Effect of probiotics on blood pressure. Hypertension. 2014;64(4):897-903.
-
마그네슘 (혈압)
- 경도 고혈압에서 혈압 소폭 감소 효과 보고
- 대표 레퍼런스:
- Zhang X, et al. Oral magnesium supplementation for blood pressure. Clin Nutr. 2016;35(5):1088-1095.
-
코엔자임Q10 (당뇨)
- 혈당 조절 개선 가능성 시사 연구 있으나, 표본 적고 더 연구 필요
- 대표 레퍼런스:
- Shao A, et al. Coenzyme Q10 and clinical applications: an evidence-based review. Nutr Diabetes. 2016;6(11):e221.
-
마늘 (암)
- 특정 암 위험 낮춘다는 역학연구 있으나 아직 확립 전
- 대표 레퍼런스:
- Nicastro HL, et al. Planting the seeds of garlic research: results of a garlic workshop. J Nutr. 2015;145(5):1107-1115.
-
산사나무 (혈압)
- 일부 소규모 RCT에서 혈압 낮추는 효과 보고
- 대표 레퍼런스:
- Walker AF, et al. Hawthorn extract for treating chronic heart failure: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Am J Chin Med. 2002;30(4):645-666.
-
카페인 (기억력, 치매 등)
- 단기적 집중·기억력 증진은 확인, 장기적 치매 예방은 일부 관찰연구 단계
- 대표 레퍼런스:
- Borota D, et al. Post-study caffeine administration enhances memory consolidation in humans. Nat Neurosci. 2014;17(2):201-203.
-
카바 (불안)
- 불안증 완화 효과를 보인 연구 있으나 간독성 등 안전성 논란
- 대표 레퍼런스:
- Sarris J, et al. Kava in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J Clin Psychopharmacol. 2013;33(5):643-648.
-
비타민B (치매)
- 고용량 B군이 노년층 인지기능 보호에 약간 효과 가능성 보고 있으나 전반적 근거 미약
- 대표 레퍼런스:
- Clarke R, et al. Vitamin B12 and folate treatment for cognition and dementi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4:CD004514.
-
오메가3 (섬유증)
- 섬유증(폐섬유증 등)에서의 효능은 제한적·일부 예비연구 단계
- 대표 레퍼런스:
- Liu G, et al. Dietary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Risk of Inflammatory Disease. Nutrients. 2019;11(5):1018.
-
카페인 (피부, 치매)
- 피부암 위험 감소, 치매 예방 관련 역학자료는 있지만 인과적 확증은 부족
- 대표 레퍼런스:
- Liu J, et al.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skin cancer: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Br J Dermatol. 2018.
-
레스베라트롤 (당뇨)
- 동물 연구나 소규모 인체 연구서 대사 개선 가능성 있지만, 대규모 확증 부족
- 대표 레퍼런스:
- Liu K, et al. Resveratrol and diabete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ents. 2017;9(1):70.
-
망종화 (우울증)
- 학술적 근거가 거의 없거나 극히 제한적
-
L-티로신 (우울증)
- 체내 일부 신경전달물질 전구물질이지만, 임상시험 근거가 빈약
-
GABA (스트레스)
- 경구 섭취된 GABA가 뇌혈관장벽을 넘어 유의미한 효과를 낸다는 확실한 근거 제한
-
코코넛 (비만)
- 체중 감소 효과 확립 못함. 포화지방 비중 높아 ‘체중감량 식품’ 근거 매우 부족
-
DHEA (노화)
- 노화 방지나 근육‧호르몬 기능 개선 효과는 대다수 연구에서 유의미성 부족
- 오메가3와 직장암(“오메가3 - 직장”), 비타민K2(전립선), 자일리톨(치아), 등은 일부 긍정적 연구가 있으나 결정적 근거가 부족하거나(자일리톨의 충치 예방 효과는 비교적 알려졌으나 모든 치과 문제에 대한 만병통치 아님), 대규모 임상 근거가 더 필요한 상태로 2~3★ 정도로 보거나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정리하면:
- 임신부의 엽산‧철분, 뼈 건강을 위한 칼슘+비타민D 등은 학계 권고가 명확한 최상위(★★★★★)
- 아연, 오메가3(특정 상황), 비타민A‧D(결핍 교정 목적), 생강(구토 억제), 멜라토닌(수면) 등은 4★
- 커피(심혈관 연관성), 비타민C(감기), 대마추출물(통증), 피버퓨(편두통), 녹차‧마늘‧초콜릿(일부 암‧혈압), 코엔자임Q10(당뇨) 등은 효과가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 수준”(3★)
- 레스베라트롤(당뇨), 카페인(치매‧피부), 비타민B(치매) 등은 초기 연구 혹은 소규모 증거에 그쳐 2★
- 망종화, L-티로신, GABA, 코코넛, DHEA 등은 1★로, 아직 임상적 신뢰도가 낮거나 추가 검증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