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의 리소스 사용 한계 보기와 설정은 ulimit로 한다
그러나 위와 별도로 프로세스 별로 리소스 사용한도가 다르다
프로세스 별로는 prlimit 명령어로 사용한다.
아래는 SubProxy 라는 이름이 붙는 프로세스의 최대 오픈 파일 수를 65535로 늘리고 있다
prlimit --nofile=65535 --pid=`pgrep -f SubProxy`
- (인프런 무료 영상 강의) 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 - 커리큘럼 총 54 개 ˙ 20시간 45분의 수업
- (인프런 무료 영상 강의) '이것이 리눅스다' 저자의 Red Hat CentOS7 리눅스 서버&네트워크 강좌 - 커리큘럼 총 57 개 ˙ 22시간 28분의 수업
- Windows 10에서 우분투 22.04 PC에 원격 액세스
- 리눅스 커널 버전 및 OS 종료, OS 버전 확인
- Linuxbrew 추천
- Linux 디렉토리 구성
- 「PATH가 통한다」란 무엇인지 다시 정리해 보았다
-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리눅스 기초
- (일어) 로그 로테이션 소프트웨어 logrotate에 대해서 정리
- Linux의 logrotate에 대해서
- 리눅스 아재력 or 할배력 셀프 테스트
-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 생활코딩 리눅스
- 리눅스를 활용한 회사 인프라 구축의 모든 것
- Ubuntu Korea - YOUTUBE
- Linux基本コマンドTips
- 일어 Man Page
- “応用力”をつけるためのLinux再入門
- 리눅스 아재력 or 할배력 셀프 테스트
- 리눅스 엔지니어 기술 면접 질문지
- インフラエンジニアとしてよく使うコマンド集
- 駆け出しエンジニアの頃に知ってたら超捗ってたlinux系コマンド・テクニックまとめ
- プログラマーが知っておくと良いLinuxコマンド
- (일어) Windows에서 Ubuntu 22.04를 조작하기【리모트데스크탑】
- (일어) Ubuntu 22.04 LTS의 신기능, 리모트데스크탑의 RDP지원 사용하기
- (일어) Ubuntu 22.04를 설치하면 설정해야할 것 10가지
- Ubuntu 초기 설정 정리
- virtualbox guest 추가를 설치하는 방법
- apt-get
- 우분투 path 추가
- home/본인아이디 로 이동
- .bashrc 파일열고 아래 내용 추가
- export PATH=$PATH:/home/본인아이디/추가디렉토리지정
- Ubuntu Server 18.04 でGUIをインストールして遠隔操作する
- 우분투 ppa
- 우분투 설치 후 할 것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 gcc 설치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gcc --version
- (일어) Windows의 RDP를 사용하여 클라우드의 Linux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 (일어) VirtualBox 상에서 Rocky Linux 설치하기
- (일어) 외부와 통신할 수 없는 서버에 rpm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
- Windows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여 Rocky Linux 9 에 접속하는 방법
- (일어) 어떻게해서라도 vim을 공부하고 싶은 사람을 위한 최저한의 명령어 모음
- 리눅스 개발 입문자를 위한 우분투 리눅스 Quick Start 가이드
- (일어) catコマンド――設定ファイルの内容を簡単に確認する
- (일어) あなたの人生を少しだけ豊かにするsudoの使い方
- (일어) suとsudoの違い
- (일어) 君はまだtmuxの真の力を引き出せていない
- (일어) Linux メモリ管理 徹底入門(カーネル編)
- (일어) Linux メモリ管理 徹底入門(プロセス編)
- (일어) 日常から使えるUnix系OS業務効率up技
- (일어) CentOSのyumレポジトリ: EPEL, Remi, Software Collectionsの違いとまとめ
- (일어) Ubuntuの使い勝手をできるだけMacに近づける
- (일어) Homebrew使い方まとめ
- (일어) [新卒向け] Linux開発環境の基礎知識
- (일어) Ubuntu core dump 셋팅
- (일어) 6万ミリ秒でできるLinuxパフォーマンス分析
- (일어) Linuxパフォーマンス調査などで使うコマンドメモ
- 리눅스 성능 어디까지 쥐어짜봤니
- My First 10 Minutes On a Server - Primer for Securing Ubuntu
- "open as administrator" menu for gnome file explorer(nautilus)
- (일어) 本当に正しい .bashrc と .bash_profile の使ひ分け
- .bash_profile에서 PATH 추가
- Bash Shell Script
- (일어) Linux超入門編・第一回はじめてのターミナル(黒い画面)操作
- (일어) いまさら聞けないLinuxとメモリの基礎&vmstatの詳しい使い方
- (일어) Linux memory
- (일어) Linuxにおけるメモリ管理の基本
- (일어) 現場で役に立たないsudoの使い方
- (일어) Bash基礎文法最速マスター
- (일어) UNIX & Linux コマンド・シェルスクリプト リファレンス
- (일어) topコマンドの使い方
- (일어) linux ディレクトリ構成
- (일어) 知っておきたいLinuxファイルシステム輪郭
- (일어) サーバーリソースのリアルタイム監視ができる便利ツール、dstatコマンドとは?
- (일어) load averageを見てシステムの負荷を確認する
- (일어) LinuxのI/OやCPUの負荷とロードアベレージの関係を詳しく見てみる
- (일어) Linux OSリソースのパフォーマンス分析(2) ~ CPUとメモリの使用状況を分析してみよう
- (일어) /binと/usr/binが分裂してる訳
- (일어) 第422回 whiptailでCUIをグラフィカルにする
- (일어) Linuxで、どのプロセスがページングを行っているのか調べるには?
- (일어) #/usr/binとその同種の周辺を探る
- (일어) perfの使いかた
- (일어) curlを使ってPOSTする
- (일어) curlコマンド――さまざまなプロトコルでファイルをダウンロード(転送)する
- vi/vim 명령어 총 정리 끝판왕!!
- (일어) Linux 디스크 사용률/파일 용량 확인 방법
- (일어) Linux 디렉토리를 Windows 폴더에 마운트 하기
- (일어) chrony로 NTP 서버(런타임 서버) 설정하기
- Ubuntu 20.04 - SSH 설치와 접속 방법
- SSH 서버 실행 확인하기.
service ssh status
또는netstat -ntlp | grep sshd
- (일어) SSL証明書ビギナー歓迎! httpsから始まるURLの役割と仕組みを0から学ぼう
- (일어) インフラエンジニアじゃなくても押さえておきたいSSHの基礎知識
- (일어) SSHの設定と使い方
- (일어) sshの活用
- (일어) SSHでリモートホストに接続する前にやっておくと便利なことは? ssh-keygenコマンド
- NIC 상태를 표시하는 툴 ethtool
- (일어) ifconfig ~(IP)ネットワーク環境の確認/設定を行う:ネットワークコマンドの使い方
- (일어) Linuxサーバの初期設定
- (일어) Linux サーバの基本的なシステム性能とOSジッタを計測するためのツールキット
- (일어) 開発者の為のサーバチューニング(LinuxOS編)
- (일어) Linux ネットワークパフォーマンスの機能強化
- (일어) Linux TCP/IP parameter note
- (일어) Linuxサーバで負荷試験するにあたって
- (일어) Linuxリソースの監視・確認に関するコマンド逆引きメモ
- (일어) 30秒で使えるtcpdump
- (일어) tcpdump コマンドの使いかたをまとめてみた
- (일어) Linuxのネットワーク設定
- (일어) TCP localhostとUnix Domain Socketはどちらが速いのか?
- (일어) Unixドメインソケットの確認
- (일어) Linux上でネットワーク回線速度を計測する手段について整理してみた
- (일어) Amazon Linux 初期設定
- (일어) AWS EC2 Linux開発環境 構築メモ
- (일어) アプリエンジニア向け:「サーバがなんか重い」時にすること
- L4 장비의 동작과 서비스 배포시 유의점
- 16 Useful Bandwidth Monitoring Tools to Analyze Network Usage in Linux
- (일어) 어느 프로세스가 TCP 통신을 했는지를 조사하는 방법
- (일어) apt 명령어를 사용해 보자
- (일어) Linux 여자부 iptables 복습편
- (일어) Linux 여자부 firewalld 철저 입문!
- (일어) RHEL7/CentOS7 NetworkManager 철저 입문
- Rsync
- (일어) rsync를 Windows에서 사용하기
- (일어) Windows에서 Rsync처럼 효율적인 복사할 수 있는 rsync.net Windows Backup Agent 사용해보기
- (일어) rsync로 디렉토리 동기(백업)
- systemd 살펴보기
- (일어) Systemd 입문(1) - Unit 개념 이해하기
- (일어) Linux 여자부 systemd 철저입문
- (일어) systemd를 시작하자
- (일어) 시작하는 systemd 서비스 관리 가이드
- (일어) systemd 초입문
- (일어) man systemd 일본어역
- (일어) systemd 에센셜
- (일어) CentOS 7のシステム管理「systemd」をイチから理解する
- 리눅스에서 터미널과 클립보드 연동하기 - Xclip과 Tmux
- (일어) 달인에게 배우는 .tmux.conf 기본 설정
- TTY 멀티플랙서 tmux
- Tmux 입문자님들을 위해
- tmux 입문자 시리즈 요약
- (일어) tmux를 사용하기 시작해서 기본적인 기능 사용법을 정리
- (일어) tmux 마스터 하기 / 플러그인 개발로 기능 확장
- (일어) 애니메이션으로 배우는 tmux 입문 ~핵심 기능 10선~
- (일어) sftp - 안전한 파일 전송 - Linux 명령어
- (일어) scp 명령어로 서버 상의 파일 or 디렉토리를 로컬에 다운 받기
- (일어) 파일 전송은 FTP가 아닌 SFTP? SSH로 안전하게 서버에 넣기
- ProcDump-for-Linux
- Jobber. A replacement for cron, with sophisticated status-reporting and error-handling
- (일어) direnv에서 특정 디렉토리 아래의 환경 변수 정의하기
- (일어) 잡 스케쥴러 「Rundeck」을 사용해 보았다
- (일어) VNC 서버/클라이언트 사용해보기
- bashtop Resource monitor that shows usage and stats for processor, memory, disks, network and processes
- bottom A cross-platform graphical process/system monitor with a customizable interface and a multitude of features. Supports Linux, macOS, and Windows. Inspired by gtop, gotop, and htop.
- btop++ 1.0 - 쉽고 강력한 리소스 모니터